맨위로가기

라오스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 왕국은 1947년 프랑스 연합의 일부로 헌법이 공포되면서 공식적으로 선포되었으며, 1953년 완전한 독립을 달성했다. 1975년 12월 2일, 마지막 국왕 시사왕 와타나가 왕위를 파텟 라오에게 넘기면서 군주제가 폐지되었고, 라오스는 공산 국가인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으로 선포되었다. 라오스 왕국은 독립 이후 파텟 라오를 비롯한 여러 정치 세력 간의 내전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베트남 전쟁의 영향을 받아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1975년 공산주의 세력의 승리로 왕국이 멸망하고, 왕족과 구 정부 인사들은 재교육 수용소로 이송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해외로 탈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왕국 - 하와이 왕국
    하와이 왕국은 1795년 카메하메하 1세가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여 건국한 입헌군주국으로, 영국 문화 수용 및 미국인 이주를 거쳐 1893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폐위 후 미국에 합병되어 하와이주가 되었다.
  • 옛 왕국 - 마타람 왕국
    마타람 왕국은 8세기부터 11세기까지 자바섬 중부와 동부를 통치하며 힌두교와 불교 문화를 융합한 왕국으로, 산자야 왕조가 건국하고 샤일렌드라 왕조의 영향을 받아 프람바난 사원을 건설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자연재해로 동부 자바로 천도하여 크디리 왕국으로 이어졌고 보로부두르, 프람바난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건축물을 남겼다.
  • 아시아의 옛 나라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아시아의 옛 나라 - 만주국
    만주국은 1931년 일본 제국이 만주사변으로 세운 괴뢰국가로, 푸이를 황제로 옹립했으나 일본 관동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했고, 오족협화와 왕도낙토를 내세웠지만 일본 침략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다 1945년 일본 패망으로 멸망 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 옛 나라 정보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옛 나라 정보 - 대한제국
    대한제국은 고종이 황제 즉위와 함께 선포한 황제 국가로, 광무개혁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자주적인 국가를 지향했으나, 일본의 영향력 강화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했으며,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이어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라오스 왕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라오스 왕국 깃발
깃발 (1947-1975)
라오스 왕국 문장
문장
국호라오스 왕국
로마자 표기Phra Ratxa A-na-chak Lao
지위프랑스 보호국 (1947–1953)
독립 국가 (1953–1975)
수도비엔티안 (행정)
루앙프라방 (왕실)
가장 큰 도시비엔티안
공용어라오어, 프랑스어
사용 언어라오어
몽어
크무어
프랑스어
민족라오족
크무족
몽족
푸타이족
타이족
마콩족
카탕족
루족
아카족
종교불교 (국교)
타이 민속 종교
기독교
기타/무종교
국가
"라오 인민의 찬가"
[[파일:National Anthem of Laos.ogg]]
정치
정부 형태단일 국가 의회 입헌군주제
군부 독재 (1959–1960)
군주시사왕웡 (1946–1959)
사방바타나 (1959–1975)
총리수완나라 (1947–1948, 처음)
수완나 푸마(1962–1975, 마지막)
의회의회
상원왕실 평의회
하원국민의회
역사
이전 국가프랑스령 라오스
통일1947년 5월 11일
독립1953년 10월 22일
승인1954년 제네바 회의 1954년 7월 21일
유엔 가입유엔 가입 1955년 12월 14일
공산주의 세력 장악파테트 라오 공산주의 세력 장악 1975년 8월 23일
멸망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 1975년 12월 2일
존속 기간1947년–1975년
인구
인구3,100,000명
통계
면적236,800 km²
통화킵 (₭)
통화 코드LAK
시간대ICT
UTC 시간대+7
날짜 형식dmy
운전 방향우측 통행
전화 코드+856
ISO 3166 코드LA
현재 국가라오스

2. 역사

라오스 왕국은 1947년 새로운 헌법이 공포되면서 공식적으로 선포되었으며, 프랑스 연합의 일부였다가[3] 1953년에 완전한 독립을 얻었다. 1975년 12월 2일, 시사왕 와타나 국왕이 왕위를 넘겨주면서 군주제는 종식되었고, 파텟 라오는 라오스를 공산 국가로 선포하였다.

2. 1. 초기 역사와 프랑스 식민 통치

1945년 3월 9일, 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처리를 단행하여 프랑스군을 몰아내고 프랑스 식민지 정부를 무너뜨렸다.[3] 4월 8일, 루앙프라방 왕국의 시사왕웡 왕은 일본의 지원을 받아 라오스 왕국의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자, 시사왕웡 왕은 독립 선언을 철회했다.

이에 독립을 요구하는 민족주의자들은 라오 이사라(자유 라오스)를 결성하여 1945년 10월 임시 정부를 수립하였다. 그러나 1946년 4월 프랑스군이 라오스를 재점령하면서 라오 이사라 지도자들은 태국으로 망명하였다. 같은 해 8월, 프랑스는 친프랑스파인 시사왕웡 왕에게 프랑스 연합 내 통일 라오스 왕국의 국왕으로서 내정 자치권을 부여하였다. 시사왕웡 왕은 1947년 5월 헌법을 제정하고 라오스를 입헌군주국으로 만들었다.

1949년 7월 19일, 프랑스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르면서 라오스를 프랑스 연합 내 협력국으로 독립시켰다. 그러나 이는 명목상의 독립이었고, 외교권과 군사권은 여전히 프랑스가 장악하고 있었다.

2. 2. 독립과 라오스 내전

1945년 일본군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처리 이후, 1953년 프랑스-라오스 조약으로 라오스 왕국은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3] 그러나 독립 이후에도 라오스는 왕당파, 중립파, 그리고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 세력인 파테트 라오 간의 권력 투쟁으로 혼란을 겪었다.

1960년대 초, 수반나 푸마 수상이 이끄는 중립파 정부가 들어섰지만, 내전은 격화되었고, 베트남 전쟁의 영향으로 북베트남과 미국이 개입하면서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5] 특히 미국은 B-52 폭격기 등을 동원하여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라오스 전역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이로 인해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고, 불발탄 문제는 현재까지도 라오스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5]

1973년 평화 협정 체결 이후 1974년에 제3차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1975년 사이공 함락 이후 파테트 라오가 주도권을 잡으면서 1975년 12월 2일 왕정이 폐지되고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9][10]

라오스 내전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사건
1945년일본군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처리, 시사왕웡 국왕의 독립 선언, 라오 이사라 임시 정부 수립
1946년프랑스의 라오스 재점령, 라오 이사라 지도부 망명
1949년프랑스 연합 내 독립
1950년수판누봉의 파테트 라오 결성
1953년프랑스-라오스 조약으로 완전 독립
1954년제네바 협정으로 프랑스군 철수
1957년제1차 연립 정부 수립
1958년파테트 라오의 보궐 선거 승리, 우파 단독 정권 수립 및 파테트 라오 탄압
1960년콩 레 대위의 쿠데타, 수반나 푸마의 중립파 정권 수립, 내전 심화
1962년제2차 연립 정부 수립, 제네바 협정으로 라오스 중립화
1964년중립파 분열, 수반나 푸마의 우파 내각 구성, 파테트 라오의 정부 불인정
1965년정부군과 파테트 라오 간 전투 재개, 미국의 북폭 개시 및 라오스 공습
1973년평화 협정 체결
1974년제3차 연립 정부 수립
1975년파테트 라오의 권력 장악, 왕정 폐지 및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


2. 3. 베트남 전쟁의 영향과 왕국의 멸망

베트남 전쟁은 라오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라오스는 전쟁에 직접적으로 개입했을 뿐만 아니라, 국토 일부가 북베트남에 의해 점령되어 남베트남에 대한 보급로로 사용되면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5]

미국은 북베트남군 진영에 대한 폭격 작전을 시작하고, 방 파오 장군이 이끄는 세력을 포함한 라오스의 반공 세력을 지원했다. 또한 중앙 정부에 물자, 훈련 및 자금을 제공하며 라오스 내전에 깊숙이 개입했다.[5] 1968년, 북베트남군(PAVN)은 파테트 라오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공격을 개시하여 라오스 왕립 군대를 사실상 해산시켰다. 이후 미국과 태국이 육성한 비정규군이 주요 전투 세력으로 남았다.[5]

미국은 파테트 라오와 북베트남군에 대한 대규모 공중 폭격을 실시했다.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라오스는 하루 24시간, 8분마다 평균 한 대의 B-52 폭탄을 맞았다고 보고될 정도로 엄청난 폭격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미군 폭격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전체 기간 동안 투하된 것보다 더 많은 무기를 라오스에 투하했다.[5] 특히 항아리 평원이 있는 시엥쿠앙주에는 2억 6천만 발의 폭탄이 쏟아졌으며, 그중 약 8천만 발이 불발탄으로 남아 현재까지도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5]

라오스는 인구당 세계에서 가장 많은 폭격을 받은 국가가 되었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라오스는 집속탄금지협약의 강력한 지지자가 되었으며, 2010년 11월에는 협약 당사국 제1차 회의를 개최하기도 했다.[5]

1973년 2월, 파리 평화협정에 따라 미국과 북베트남 간 휴전이 이루어졌다. 1974년 4월에는 수반나 푸마 왕자를 수상으로 하는 임시 국가통일정부가 수립되었지만, 이미 파테트 라오 군대가 라오스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었다.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과 프놈펜 함락으로 공산군이 승리하면서 라오스에서 연립 정부가 구성될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졌다.[6]

1975년 12월 2일, 비엔티안에서 사방 밧타나 국왕이 퇴위하고, 수파누봉 왕자를 대통령으로 하는 라오 인민민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로써 라오스 왕국은 멸망하고, 카이손 폼비한을 수상 겸 라오 인민혁명당 서기장으로 하는 공산 국가가 들어섰다.

3. 정치

1953년 프랑스-라오스 조약으로 라오스가 독립하면서 시사왕 봉을 국왕으로, 수반 누마를 총리로 하는 입헌군주제가 수립되었다. 시사왕 왓타나 국왕과 여러 왕자들은 연립 정부 구성을 시도했으나, 1958년 수반 누마 왕자 주도의 제1차 국가 연합 정부는 두 달 만에 붕괴되었다. 수반 누마는 공산당에 내각 자리 두 개를 제안했고, 수판누봉은 자신의 공산당 군대 6,000명 중 1,500명을 왕실 군대에 통합하는 조건으로 이를 수락했다.

3. 1. 입헌군주제와 정부 구성

1953년 프랑스-라오스 조약에 따라 라오스가 독립하면서 라오 왕국 정부가 국가 통치권을 장악했다. 이 조약으로 시사왕 봉을 국왕으로, 수반 누마를 총리로 하는 입헌군주제가 수립되었다.[1]

세 왕자와 시사왕 왓타나 국왕은 여러 차례 연립 정부 구성을 시도했다. 1958년 수반 누마 왕자 주도로 제1차 국가 연합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두 달 만에 붕괴되었다. 헌법에 따라 장관을 임명하고 국왕의 자문을 받던 총리는 자신의 동생인 수판누봉 왕자와 거래를 했다.[2]

수반 누마는 공산당에 내각 자리 두 개를 주는 대신 수판누봉으로 하여금 그의 공산당 군대 6,000명 중 1,500명을 왕실 군대에 통합하도록 했다. 수판누봉 왕자는 기획, 재건 및 도시화 장관직을 맡았고, 다른 공산당원은 종교 및 미술 장관으로 임명되었다.[3]

라오스 왕국의 입법부는 양원제였다.[4]

3. 2. 의회

라오스 왕국의 입법부는 양원제였다.[1]

3. 3. 정당

라오스 왕국에는 여러 정당이 활동했다. 1953년 프랑스-라오스 조약으로 라오스가 독립하면서 시사왕 봉을 국왕으로, 수반나 푸마를 총리로 하는 입헌 군주제가 수립되었다.[1] 이후 시사방 왓타나 국왕과 여러 왕자들이 연립 정부 구성을 시도했으나,[2] 1958년 수반나 푸마 주도로 구성된 제1차 국가 연합 정부는 두 달 만에 붕괴되었다.[2]

수반나 푸마는 공산주의 세력인 파테트 라오에 내각 자리 두 개를 제안했고, 수파누봉은 자신의 공산당 군대 6,000명 중 1,500명을 왕실 군대에 통합하는 조건으로 이를 수락했다.[3] 수파누봉은 기획, 재건 및 도시화 장관을, 다른 파테트 라오 인사는 종교 및 미술 장관을 맡았다.[3]

라오스 왕국의 입법부는 양원제였다.[4]

4. 군사

라오스 왕국군은 육군, 해군, 공군의 세 부대로 구성되어 국가 방위를 담당했으며, 비엔티안에 있는 국방부의 통제를 받았다. 라오스 왕국은 5개의 군사 지역으로 나뉘었다.

미국은 라오스 해군에 강정 순찰선 20척과 상륙정 16척을 제공했다. 1962년부터 1971년까지 미국은 라오스에 5억달러의 군사 원조를 제공했다.

4. 1. 군사 조직과 미국의 군사 원조

라오스 왕국군은 육군, 해군, 공군의 세 부대로 구성되어 국가 방위를 담당했으며, 이들은 비엔티안에 있는 국방부의 통제를 받았다. 라오스 왕국은 5개의 군사 지역으로 나뉘었다.

미국은 라오스 해군에 강정 순찰선 20척과 상륙정 16척을 제공했다. 1962년부터 1971년까지 미국은 라오스에 5억달러의 군사 원조를 제공했다.

4. 2. 내전 시기 군사 활동

1960년, 왕립 라오스 군과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 세력인 파테트 라오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1962년 수반나 푸마 왕자가 구성한 제2차 국가통일 임시정부는 실패했고, 라오스 내전은 강대국 간 경쟁의 초점이 되었다. 북베트남의 라오스 침공 동안 파테트 라오는 베트남 인민군(PAVN)과 베트콩의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5]

라오스는 베트남 전쟁에 휘말렸는데, 라오스 일부 지역이 북베트남에 의해 점령되어 남베트남에 대한 전쟁 보급로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북베트남군 진영에 대한 폭격 작전을 시작하고, 방 파오 장군이 이끄는 몽족 부대를 포함한 라오스의 반공 세력을 지원했으며, 베트남 공화국군의 라오스 침공을 지원했다. 또한 중앙 정부에 물자, 훈련, 자금을 제공했다.[5]

1968년, PAVN은 파테트 라오가 왕립 라오스 군과 싸우는 것을 돕기 위해 다부대 공격을 개시했다. 이 공격으로 군대는 대부분 해산되었고, 미국과 태국이 육성한 비정규군에게 갈등이 넘겨졌다.[5]

미국은 파테트 라오와 PAVN군에 대한 대규모 공중 폭격을 실시했다.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라오스는 하루 24시간, 8분마다 평균 한 대의 B-52 폭탄을 맞았다고 보고되었다. 미군 폭격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전체 기간 동안 투하된 것보다 더 많은 무기를 라오스에 투하했다. 항아리 평원의 시엥쿠앙주에 쏟아진 2억 6천만 발의 폭탄 중 약 8천만 발이 불발탄으로 남아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5]

라오스는 인구당 세계에서 가장 많이 폭격을 맞은 국가이며, 집속탄의 영향을 심하게 받았다. 라오스는 집속탄금지협약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2010년 11월 협약 당사국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5]

1975년, 파테트 라오는 PAVN과 함께 소련의 지원을 받아 왕당파 라오스 정부를 전복시켜 1975년 12월 2일 사방 바타나 국왕을 퇴위시켰다.[5]

5. 외교 관계

라오 왕국은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미국으로부터 많은 원조를 받았다. 미국은 파테트라오와 북베트남 공산주의 운동에 맞서는 전쟁을 지원했다.[4] 사반 밧타나 국왕은 1963년 케네디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라오스는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버마, 태국, 일본의 지원도 받았다.

5. 1. 미국과의 관계

라오 왕국은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미국은 라오스에 많은 원조를 제공하였다.[4] 1957년 미국은 라오스에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은 1인당 외국 원조를 지출했는데, 이는 라오스인 1인당 150달러로, 라오스인 평균 연소득의 두 배에 달하는 금액이었다.[4] 이 자금 중 일부는 선거에서 친미 후보를 지원하고, 현지 통화인 킵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사용되었다.[4]

사반 밧타나 국왕은 1963년 케네디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미국은 파테트라오와 북베트남 공산주의 운동에 맞서는 전쟁을 지원했다. 1965년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북폭을 개시하면서, 미군은 파테트 라오가 북베트남의 지원(호치민 루트)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며 “왕족파 보호”를 이유로 라오스를 공습했다. 1970년에는 미군의 라오스 공습이 더욱 격화되기도 했다.

5. 2. 기타 국가들과의 관계

라오스 왕국은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미국은 라오스에 원조를 제공하고 파테트라오와 북베트남 공산주의 운동에 맞서는 전쟁을 지원했다.[4] 1957년 미국은 라오스에 1인당 150USD의 원조를 제공했는데, 이는 라오스인 평균 연소득의 두 배에 달하는 금액이었다.[4] 이 자금은 친미 후보 지원 및 현지 통화인 킵 지원 프로그램에 사용되었다.[4] 1963년 사반 밧타나 국왕은 케네디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라오스는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버마, 태국, 일본의 지원도 받았다. 특히, 프랑스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에도 라오스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 1949년 7월 19일, 프랑스는 라오스를 프랑스 연합 내 협력국으로 독립시켰으나, 이는 명목상의 독립이었고 외교권과 군사권은 여전히 프랑스가 장악하고 있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해 프랑스군이 철수하면서, 라오스 왕족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5. 3.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1960년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라오스 왕국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1]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대한민국은 라오스에 의료진과 태권도 교관단을 파견하여 군사 원조를 제공하였다.[1]

1971년 2월 호치민 루트 차단을 목적으로 남베트남군이 라오스를 침공하였는데, 이 작전에 대한민국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였다.[1]

1975년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양국 관계는 단절되었다.[1]

6. 라오스 왕국의 멸망과 그 이후

1960년, 왕립 라오스 군과 소련이 지원하는 공산주의 세력인 파테트 라오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1962년 수반나 푸마 왕자가 구성한 제2차 국가통일 임시정부는 실패했고, 라오스는 초강대국 간 경쟁의 초점이 되면서 상황이 악화되었다. 북베트남의 라오스 침공 동안 파테트 라오는 베트남 인민군(PAVN)과 베트콩의 지원을 받았다.[5]

라오스는 베트남 전쟁에 휘말려 북베트남에 의해 일부 지역이 침략당하고 점령되어 남베트남에 대한 보급로로 사용되었다. 미국은 북베트남군 진영에 대한 폭격, 방 파오 장군이 이끄는 라오스 반공 세력 지원, 베트남 공화국군의 라오스 침공을 지원하고 중앙 정부에 물자, 훈련, 자금을 제공했다.[5]

1968년, PAVN은 파테트 라오를 돕기 위해 다부대 공격을 개시하여 군대가 대부분 해산되고 미국과 태국이 육성한 비정규군에게 갈등이 넘겨졌다.[5]

미국은 파테트 라오와 PAVN군에 대규모 공중 폭격을 실시했다.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라오스는 하루 24시간, 8분마다 평균 한 대의 B-52 폭탄을 맞았다. 미군 폭격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전체 기간 동안 투하된 것보다 더 많은 무기를 라오스에 투하했다. 항아리 평원의 시엥쿠앙주에 쏟아진 2억 6천만 발의 폭탄 중 약 8천만 발이 불발되어 주민들에게 부상과 사망을 야기하고 있다.[5]

라오스는 인구당 세계에서 가장 많이 폭격을 맞은 국가이다. 집속탄의 영향을 심하게 받아 집속탄금지협약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2010년 11월 협약 당사국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5]

1973년 2월,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파리 평화협정에 따라 휴전이 이루어졌다. 1974년 4월, 수반나 푸마 왕자를 수상으로 하는 임시 국가통일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파테트라오군이 이미 라오스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었고,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과 프놈펜 함락 이후 라오스에서 연립 정부 구성 가능성은 사라졌다.[6]

6. 1. 파테트라오의 승리와 왕정 폐지

1975년 12월 2일 비엔티안에서 봉 사방 왕자는 사방 밧타나 국왕의 퇴위 선언문을 파테트라오에 제출했다.[6] 이로써 라오스 왕국은 막을 내리고 수파누봉 왕자를 대통령으로 하는 라오 인민민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카이손 폼비한은 수상 겸 라오 인민혁명당 서기장을 역임했다.[6]

6. 2. 왕족과 구 정부 인사들의 운명

라오스 왕실을 포함하여 약 3만 명에서 4만 명[7]의 시민과 구 정부 인사들이 라오스 오지의 재교육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국왕, 왕비, 왕세자는 모두 수감 중 사망했다.[8]

  • 시사완 봉
  • 사완 왓타나


아래는 라오스 왕국 망명 정부를 조직하고 라오스 국왕의 왕위를 주장하는 인물이다.

  • 실리웡 사완 (봉사완 태자의 장남)

참조

[1] 웹사이트 Laos Constitution 1947/1949 https://media.blooms[...] 1947-05-11
[2] 웹사이트 About this Collection - Country Studies http://lcweb2.loc.go[...] 2018-03-21
[3]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 Laos - The Kingdom of Laos http://lcweb2.loc.go[...] 2018-03-21
[4] 서적 Spirits of the Place: Buddhism and Lao Religious Culture 2009
[5] 뉴스 Forty years on, Laos reaps bitter harvest of the secret wa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12-03
[6] 웹사이트 Laos https://2009-2017.st[...] 2018-03-21
[7] 웹사이트 Laos under communism https://web.archive.[...] 2012-04-25
[8] 뉴스 Laotian Royal Family Died in Prison Camp https://www.nytimes.[...] 1990-02-08
[9] 간행물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の樹立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1975-12-25
[10] 간행물 樹立された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世界と日本) / 三浦 一夫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1976-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